본문 바로가기

화용론3

한국어 화용론 함축의 정의와 격률 오늘의 주제는 "함축"입니다. 1. 함축의 정의우리는 대화 상황에서 청자에게 전하고자 하는 바를 문장의 내용을 통하여 직접적으로 표현하기도 하지만, 이렇게 직접적으로 표현하지 않고 우회적으로 돌려서 다른 표현으로 전하는 경우도 있다. 앞에서 논의한 간접 발화 행위도 그러한 표현 가운데 하나이다. 발화를 할 때 그 내용이 문장 표현의 의미 그대로 나타나는 것을 ‘말해진 것’이라고 한다면, 그 문장의 표현 의미와는 다르게 화자가 의도하는 바를 전하는 것을 ‘암시된 것’이라 하는데, 이 때 문장의 발화에 의하여 암시된 내용을 함축(含蓄)이라 한다. 곧 함축이란 말하고자 하는 바를 문장으로 실제 발화한 것은 아니지만 그 발화 속에 암시되어 있는 명제를 가리킨다. 함축은 관습적 함축(慣習的 含蓄)과 대화적 함축(.. 2020. 4. 29.
한국어 교육의 화용론 주제 오늘의 포스팅 주제 화용론 화용론의 주제들 1. 직시 :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언어 표현 가운데서 그것이 사용되는 장면 혹은 맥락에 따라서 지시하는 바가 달라지는 것이 있다. 예를 들면 (1) ㄱ. 나는 너를 사랑해. ㄴ. 김선생께서 어제 귀국했다. (1ㄱ)에서 ‘나’와 ‘너’는 화자와 청자가 각각 누구인가에 따라서 그 지시 대상이 달라진다. 또한 (1ㄴ)에서도 이 말을 화자가 언제 했느냐에 따라 ‘어제’가 가리키는 날짜는 달라지게 된다. 이처럼 화자가 말을 하면서 직접 어떤 대상을 가리키는 일이 있는데 이것을 직시(直示)라고 한다. 다시 말하면 직시는 화자의 시간과 공간적 입장이 기준이 되어서 사물을 직접 가리키는 문법적 기능을 말한다. 그리고 이 때 쓰이는 단어나 어구를 지시어(指示語) 또는 지시소라.. 2020. 4. 26.
한국어교육에서 화용론의 정의와 정리 오늘의 포스팅 주제화용론 1. 정의 1.1 화용론이란 말하는 사람(혹은 저자)에 의해서 의사 소통되고 듣는 사람(혹은 독자)에 의해서 해석되는 의미에 대한 연구와 관련된다. 따라서, 화용론은 어떤 발화에서 단어나 구가 그 자체로서 의미하는 것보다 사람들이 그 발화로서 의미하는 것과 더 많은 관계가 있다. 화용론은 말하는 사람의 의미에 대한 연구이다. 이 유형의 학문은 반드시 사람들이 특정한 문맥에서 의미하는 것과 그 문맥이 화자가 말하는 것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을 포함한다. 즉, 화자는 자신이 말하려는 대상, 장소, 때, 환경에 맞추어 말하고자 하는 것을 조직하는 방식에 대하여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화용론은 문맥상의 의미에 대한 연구이다. (George Yule, 2001) 1.2 기타 정의들여.. 2020. 4. 24.